리터럴(Literal Typs)
// userName1 에서는 Bob 을 표시해준다.
// 이처럼 정해진 string 값을 가진것을 문자열 리터럴 타입 이라고 한다.
const userName1 = 'Bob';
// userName2 에서는 string 을 표시해준다. => 언제든 다른값으로 바뀔수 있어서이다.
let userName2 = "Tom"; // let userNmae2 : string | number = "Tom"
userName2 = "souyn";
// part2
const userName1 = 'Bob';
let userNmae2 : string | number = "Tom"
userNmae2 = 30;
type Job = "police" | "developer" | "teacher" ;
interface User {
name : string;
job : Job;
}
const user:User = {
name: "Bob",
job: "teacher"
}
// part3 유니온타입
interface HighSchoolStudent {
name : string ,
// 숫자열 리터럴 타입도 사용할 수 있다. 여기서 | 는 유니온 타입을 말한다.
grade : 1 | 2 | 3 ,
}
'Programming Language > Type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TypeScript ] Class 예제 (1) | 2024.02.14 |
---|---|
[ TypeScript ] Interface 예제 (0) | 2024.02.14 |
[ TypeScript ] Type 과 Interface 의 차이점 (0) | 2024.02.14 |
[TypeScript] JavaScript 와 TypeScript 의 차이점 (0) | 2024.02.14 |